본문 바로가기
세금

금융소득세는 어떤 세금이고 얼마나 납부해야 할까?

by Han Sang Gi 2024. 11. 16.
반응형

썸네일

오늘은 금융소득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금융소득세는 일반 근로소득과는 달리, 이자와 배당 같은 금융소득에 과세되는 세금입니다.

 

주로 고액의 금융소득을 가진 사람들이 대상이 되며, 특정 금액을 초과할 때 종합과세로 부과되는 점에서 다른 세금과 차이가 있습니다.

반응형

 

썸네일

금융소득세는 은행 이자, 주식 배당 등으로 발생하는 금융소득에 부과되는 세금입니다. 금융소득이 연 2,000만 원 이하라면 15.4%의 세율로 원천징수만 하면 과세가 끝납니다.

 

하지만 연간 금융소득이 2,000만 원을 초과할 경우, 해당 초과분에 대해 다른 소득(예: 근로소득, 사업소득)과 합산하여 누진세율을 적용받게 되며, 이를 금융소득 종합과세라고 합니다.

 

금융소득이 일정 금액을 초과할 경우 종합과세가 적용되는 이유는, 소득이 많은 사람들에게 더 높은 세율을 적용하여 세금 부담을 늘리고, 소득 재분배를 촉진하려는 목적 때문입니다.

썸네일

금융소득세는 먼저 2,000만 원 이하의 금융소득에 대해 15.4% 세율로 원천징수한 후, 그 금액이 초과될 때만 다른 소득과 합산하여 누진세율로 과세합니다. 과세 구간에 따른 누진세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1,400만 원 이하: 세율 6%, 누진공제 없음

1,400만 원 초과 ~ 5,000만 원 이하: 세율 15%, 누진공제 126만 원

5,000만 원 초과 ~ 8,800만 원 이하: 세율 24%, 누진공제 576만 원

8,800만 원 초과 ~ 1억 5,000만 원 이하: 세율 35%, 누진공제 1,544만 원

1억 5,000만 원 초과 ~ 3억 원 이하: 세율 38%, 누진공제 1,944만 원

3억 원 초과 ~ 5억 원 이하: 세율 40%, 누진공제 2,594만 원

5억 원 초과 ~ 10억 원 이하: 세율 42%, 누진공제 3,594만 원

10억 원 초과: 세율 45%, 누진공제 6,594만 원

 

이처럼 고소득 구간으로 갈수록 높은 세율이 적용되며, 최대 세율은 49.5%에 달합니다. 이로 인해 금융소득이 고액일수록 부담이 크게 증가하게 됩니다.

썸네일

금융소득세의 종합과세 제도는 1996년에 금융실명제와 함께 도입되었습니다.

 

이자소득과 배당소득을 포함한 금융소득을 다른 소득과 합산하여 누진세율을 적용하게 한 것은 고액 소득자의 세부담을 높이고, 소득 재분배를 촉진하기 위한 정책적 목적이었습니다.

 

그러나 1997년 IMF 외환위기 발생 후 일시적으로 시행이 유보되었다가, 2001년에 다시 시행되었습니다. 당시에는 부부 합산 과세 방식으로, 부부의 금융소득을 합산하여 4,000만 원 이상일 경우 종합과세를 적용했습니다.

 

이후 2002년 헌법재판소가 부부 합산 과세 방식에 대해 위헌 결정을 내리면서, 금융소득 종합과세는 인별 과세로 변경되었습니다.

 

또한, 2013년에는 기준 금액이 4,000만 원에서 2,000만 원으로 낮아졌습니다.

 

이는 고액 금융소득자에 대한 과세를 강화하고 세수 확보를 늘리려는 조치였지만, 이후에도 금융소득 과세 기준 금액을 더 낮추려는 시도와 이에 대한 반발이 반복되고 있습니다.

썸네일

금융소득세의 과세 방식에는 몇 가지 문제점이 있습니다.

 

첫째, 금융소득이 연 2,000만 원을 초과하면 최대 49.5%의 고율 세금이 부과되기 때문에, 고액 금융소득을 가진 대주주나 오너들은 세금 부담을 피하기 위해 배당을 줄이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한국 기업들은 배당 성향이 낮아지고, 외국인 투자자들이 한국 기업을 저평가하는 코리아 디스카운트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둘째, 금융소득세가 고령층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문제도 지적됩니다. 고령층, 특히 은퇴자들은 은행 이자나 주식 배당에 의존해 생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금융소득세 기준 금액이 낮아질 경우 이들의 세금 부담이 커지고, 생활비 부담이 가중될 수 있습니다. 실제로 2017년에는 금융소득세 기준 금액을 1,000만 원으로 낮추자는 의견이 있었으나, 고령층의 반발로 무산된 바 있습니다.

 

셋째, 금융소득세는 금융자산가들이 세금을 회피하거나 자산을 해외로 이전하게 만드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고액 자산가들은 배당을 줄이거나, 해외 금융상품에 투자하여 국내에서 금융소득세를 회피하려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썸네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몇 가지 개선 방안이 제시되고 있습니다.

 

첫째, 배당성향을 높이기 위해 배당소득에 대해서는 분리 과세를 검토하자는 의견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고액 금융소득자들의 세금 부담을 줄여주고, 기업들이 배당을 활성화하도록 유도하자는 것입니다.

 

둘째, 금융소득세 과세 기준 금액을 소득 구조나 연령에 따라 차등 적용하는 방안도 제시됩니다.

 

고령층이나 은퇴자를 대상으로는 보다 높은 기준 금액을 적용하고, 젊은 고액 소득자들에게는 현행 기준을 유지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고령층의 생활비 부담을 줄이고, 세제의 공평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셋째, 금융소득세와 관련된 불필요한 행정 절차를 간소화하고, 세금 회피를 방지하기 위한 강력한 규제를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이를 통해 세무 행정의 효율성을 높이고, 금융소득세 제도가 가지는 복잡성을 줄일 수 있습니다.

썸네일

오늘은 금융소득세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금융소득세는 고액 금융소득을 가진 사람들에게 종합과세로 적용되는 세금으로, 소득 재분배와 세수 확보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높은 세율로 인해 고령층의 부담이 증가하거나, 대주주들이 배당을 회피하는 문제도 존재합니다.

 

금융소득세 제도가 보다 공평하고 효과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다양한 개선 방안이 논의되고 있으며, 이러한 변화가 한국 경제와 기업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이번 포스팅이 금융소득세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되었기를 바라며, 다음 시간에도 유익한 정보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